등록일2011-12-15
발행처국립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조회수25,197
'통일강좌' 시리즈의 32번째로 발간되는 이 소책자에서는 북한의 문화예술에 반영된 북한사회와 주민들의 일상의 모습들을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조망하고 있습니다.
* 이 책은 스마트폰으로 통일교육원 홈페이지 eBook서고(www.uniedu.go.kr/ebook)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I. 북한의 문화예술 정책
1. 문예이론과 정책적 목표
2. 김정일 정권의 주요 선동매체로서의 영화와 소설
3. 총서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의 위상과 역할
II. 문화예술에 반영된 북한사회의 모습
1. 관료제의 병폐와 '숨은 영웅' 찾기
2. 과학기술적 혁신과 청춘의 강조
3. 증산을 위한 자력갱생의 의미와 한계
III. 문화예술에 나타나는 북한주민의 현실 문제
1. 결손가정과 새 가족형성
2. 세대갈등 양상과 좋은 아버지상
3. 청년들의 애정관과 노동관
4. 여성노동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가부장주의
5. 개인주의, 소비에 대한 욕망
IV. 계급교양 역사물과 일제 강점기 계몽가요 붐의 실상
1. 계급교양 역사물
2. 계몽기 대중가요의 인기와 '조선민족 제일주의'
3. 일제 강점기 계몽가요 보급과 민족성의 강조
4. '음악 정치'의 의미와 정치적 기능
V.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