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교수 특강 등 문의
교육연수과
Tel : 02)9017-046
렘코 브뢰커
(Remco Breuker)
네덜란드 레이든대 교수
초빙기간: 2022.10.31. ~ 11.4
강의주제
· 북한의 제재회피 실태와 대북제재의 실효성
·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대북정책
매츠 앵만
(Mats Engman)
스웨덴 ISDP 석좌연구위원
초빙기간: 2022.10.17. ~ 10.21
강의주제
· 국제안보정세 변화와 한반도 위기관리체제의 재구축
· DMZ의 과거, 현재, 미래
이소자키 아츠히또
(ISOZAKI Atsuhito)
일본 게이오대 교수
초빙기간: 2022.8.29. ~ 9.6
강의주제
· 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체제의 동향과 변화 가능성
· 북한의 관광사업과 정책의 이해
토비 달튼
(Toby Dalton)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 선임연구위원
초빙기간: 2022.5.9.~ 5.13
강의주제
· 북핵 문제의 이해
· 미국의 핵 비확산 정책과 한반도에 대한 함의
헤리 카지아니스
(Harry Kazianis)
네셔널인터레스트(CNI) 한국담당 국장
초빙기간: 2021.10.5.~10.15.
강의주제 · 바이든 시대 미국의 외교안보정책 변화와 한반도
라몬 파체코 파르도
(Ramon Pacheco Pardo)
킹스컬리지 런던대학교 교수
유럽연구소 KF-브뤼셀자유대학 한국석좌
초빙기간: 2021.10.22.~11.4.
강의주제 · 유럽의 화해, EU 통합, 그리고 한반도 통일
니클라스 스완스트롬
(Niklas Svanström)
스웨덴 ISDP 소장
초빙기간: 2021.11.8.~11.12.
강의주제
· 유럽 관점에서의 한반도 통일문제
· 재난관리를 위한 남북협력
· 포스트 코로나시대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다자적 접근
스티븐 노에퍼
(Stephen Noerper)
컬럼비아대 교수
초빙기간: 2021.12.1.~12.7.
강의주제
· 한반도 종전선언의 국제적 함의
· 미중 전략 경쟁과 한반도 정세 전망
한센동
(HAN Xian-dong)
중국 정법대 교수
초빙기간 : 2020.10.12.~10.16.
강의주제
· 중국과 북한경제개혁에 대한 비교
· 양안관계와 남북관계 비교
이상수
(LEE Sang-soo)
스웨덴 안보개발정책연구소(ISDP) 한국센터장
초빙기간 : 2020.11.1.~11.8.
강의주제
· 유럽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한반도의 평화
·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정책
버트 젠킨스
(Bert JENKINS)
호주 뉴잉글랜드대 평화학·생태학 교수
초빙기간 : 2019.6.7~6.14
강의주제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평화교육
· DMZ : 상생과 협력의 생태학
니시노 준야
(NISHINO Junya)
게이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초빙기간 : 2019.9.1~9.10
강의주제
· 일본의 한반도 정책
· 한반도 평화의 미래와 일본
김강일
(JIN Qiangyi)
연변대학교 국제정치학과 교수
초빙기간 : 2019.10.14~10.18
강의주제
· 북한 사회변화 및 개혁·개방 가능성
· 한반도 평화정착의 과제와 해법
카타리나 젤위거
(Katharina ZELLWEGER)
스탠포드대학교 국제안보협력센터(CISAC) 객원연구위원
초빙기간 : 2019.11.7~11.21
강의주제
· 대북 인도지원 24년의 경험
· 북한 장애인 인권의 실태
장 샤오밍
(Zhang Xiaoming)
북경대 국제관계대학원 교수
초빙기간 : 2018.4.2~4.10
강의주제
· 한반도와 중국의 국가안보
· 트럼프 행정부와 동북아 지역질서
소에야 요시히데
(Soeya Yoshihide)
게이오대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초빙기간 : 2018.10.28~11.3
강의주제
· 1998년 한일공동선언의 배경과 의의
· 아베내각의 대내외정책
알렉산더 페도로프스키
(Alexander Fedorovskiy)
세계경제국제관계(IMEMO) 프리마코프 국립연구소 태평양센터장
초빙기간 : 2018.11.4~11.17
강의주제
· 분기점의 한반도와 러시아
· 러시아의 동방정책과 한반도 신경제지도
청샤오허
(Cheng Xiaohe)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 교수
초빙기간 : 2017.4.25~5.2
강의주제 · 미-중 관계 / 중국과 북핵
요아힘 라그니츠
(Joachim Ragnitz)
독일 드레스덴대 경제학과 교수
초빙기간 : 2017.9.11~9.22
강의주제 · 독일의 경제통합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크리스토퍼 데이비스
(Christopher Davis)
옥스퍼드대 경제·학제간 지역학 교수
초빙기간 : 2017.10.11~10.31
강의주제 · 러시아·동유럽·중국의 전환경제 시기 보건연구와 북한 보건
로버트 아인혼
(Robert Einhorn)
브루킹스 연구소 수석연구원(前 미 국무부 비핵확산 차관보)
초빙기간 : 2017.11.13~11.17
강의주제 · 북핵 문제
세르게이 쿠르바노프
(Sergei O. Kurbanov)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 학제간연구
한국학연구소장
초빙기간 : 2016.4.25~5.13
강의주제
· 러시아 관점에서 바라본 한반도 분단 60년과 새로운 통일방안
· 남북한 문화·민족성 차이 및 통일관점에 대한 비교 외
에번스 리비어
(Evans J.R. Revere)
올브라이트 스톤브리지그룹 선임국장
초빙기간 : 2016.8.29~9.9
강의주제· 동북아 국제관계 및 한반도 정세 관련
마린 뷔소니에
(Marine Buissonniere)
국경없는 의사회(MSF) 이사
초빙기간 : 2016.10.5~10.21
강의주제
· 북한 보건시스템 실태
·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
스인홍
(Shi Yinhong)
인민대 국제정치 교수
초빙기간 : 2016.11.7~11.23
강의주제
· 중국의 대북한 정책
· 미·중관계 관련
에버하르트 쿠어트
(Eberhard Kuhrt)
독일 내무성 한독통일자문위 소장
초빙기간 : 2015.10
강의주제· 독일의 ‘내부통일’-성공과 남아있는문제들 외
이종원
(Jong-Won Lee)
일본 와세다대 아태연구과 교수
초빙기간 : 2015.8.26~9.11
강의주제 · 일본의 외교안보전략과 한반도 정책
그렉스칼라튜
(Greg Scarlatoiu)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
초빙기간: 2015.4.6~4.24
강의주제 · 북한인권 현황과 과제 외
방수옥
(Fang Xiuyu)
중국 복단大 국제문제연구원, 한국학 부교수
초빙기간: 2015.4.6~4.24
강의주제 · 시진핑시대 중국외교정책의 새로운 이념과 대한반도 정책 외
브루스 벡톨
(Bruce Bechtol)
미국 안젤로 주립 대학교 교수
초빙기간: 2014.10.5~10.25
강의주제 · 김정은 시대의 북한과 지역 안보
이성윤
(Sung-Yoon Lee)
미국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스쿨 교수
초빙기간: 2014.9.15~10.3
강의주제 · 북한의 외교전략 등
히라이 히사시
(Hisashi hirai)
일본 교도통신 객원 논설위원 겸
초빙기간: 2014.8.3~8.23
강의주제
· 김정은 정권 2년 반의 평가
· 북·일 관계 현황과 전망
산딥 쿠마르 미쉬라
(Sandip K, MISHRA)
인도 델리 대학교 교수
초빙기간: 2014.5.25~6.13
강의주제 · 국제적 시각을 통해 본 통일문제
수 미 테리
(Sue Mi Terry)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선임연구원
초빙기간: 2013.11.25~12.
강의주제 · 남북한과 미국 : 통일에 대한 도전과 기회
이채진
(Chae-Jin Lee)
미국 클래어몬트 맥케나 대학교 명예교수
초빙기간: 2013.11.14~11.30
강의주제
· 오바마 정부의 대한반도 정책
· 미·중관계와 한반도의 미래
알렉산더 만수로프
(Alexandre Mansourov)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 국제대학원(SAIS)객원연구원
초빙기간: 2013.10.15~11.14
강의주제
· 김정은 시대의 북한
·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이익과 대북정책
자오후지
(趙虎吉)
중국공산당 중앙당교 정법부 교수
초빙기간: 2013.9.29~10.12
강의주제
· 중·북 개혁·개방 비교
· 탈냉전시대 북한의 생존전략과 그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