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통일교육원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 사회 통합 등 관련된 주제에 대한 학계와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은 저널 '평화와 통일' 창간호(제1집1호)를 발간하였습니다.
국립통일교육원은 2022년 상반기 창간호를 시작으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 사회 통합 등 관련된 주제를 담은 저널 '평화와 통일'을 발간합니다.
창간호 발간에 앞서, 학계와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은 창간준비호를 발간하였습니다.
통일교육원은 △ 정부 및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 △학계 △여성 및 생태 분야로 나누어 분단 이후 다양한 영역과 공간에서 표출되어 온 통일담론들을 정리하고 그 성찰의 결과를 담아낸 전문가용(유관 전공자용) 도서, <분단 이후 제기된 통일담론에 대한 정리와 성찰>을 발간하였습니다.
이 책자를 통해 전문가, 유관 전공자, 일반 시민분들이 앞으로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통일담론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더 다양한 분야에서 통일담론과 관련한 깊이 있고 구체적인 논의와 연구가 활성화 되기를 기대합니다.
* 책자가 필요하신 경우, <발간자료 이용문의>에서 신청하시면 재고 수량 내에서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국립통일교육원은 한반도 주변정세와 통일문제 및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 『한반도 평화 이해』를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기본교재가 각급 교육기관 및 통일교육 현장에서 통일문제와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국립통일교육원은 한반도 주변정세와 통일문제 및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 『한반도 평화 이해』를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기본교재가 각급 교육기관 및 통일교육 현장에서 통일문제와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국립통일교육원은 한반도 주변정세와 통일문제 및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 『한반도 평화 이해』를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기본교재가 각급 교육기관 및 통일교육 현장에서 통일문제와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남과 북의 어린이가 처음 만나 다름을 인정하고 진정한 친구가 되는 이야기(통일 그림 동화)
전자책으로 이용하시면 리혜리와 이혜리 순서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남북어린이의 우정을 그린 통일 그림동화(2019년 발간) "캠핑가는날"입니다.
남·북어린이가 진정한 친구가 되는 과정을 그린 통일 그림동화 『사라진 마법의 구슬』(2020년 발간) 입니다.
‘21년 통일 그림동화 "그래! 달라도 괜찮아!"는
국립통일교육원에서 네 번째*로 발간된 어린이들(유‧초등) 대상 그림동화입니다.
명절을 맞아 남북 동갑내기 친척 아이들이 만나 크기는 달라도 맛이 같은 ‘만두’를 빚고,규칙은 다르지만 같이 즐길 수 있는 ‘제기차기’를 통해
남․북 어린이가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새롭게 규칙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따뜻한 그림체로 표현한 그림동화
* 상단 첨부파일을 통해 파일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책이 추가로 필요하신 경우는, 국립통일교육원 홈페이지(www.uniedu.go,kr) 자료마당-발간자료 이용문의에서 신청해주시면 보내드립니다.
‘22년 통일 그림동화 『남떡 북떡 쑥떡쑥떡』은
국립통일교육원에서 다섯 번째*로 발간된 어린이(유‧초등) 대상 그림동화입니다.
떡을 좋아하는 남쪽 북쪽 동물들이
남북 사이에 있는 '사이 큰 숲'에 모여
정겹게 노래 부르며, 떡을 쿵덕쿵덕 만들고
쑥떡쑥떡 나눠 먹으며 즐기는 과정을
표현한 그림동화
* 책이 추가로 필요하신 경우, 국립통일교육원 홈페이지(www.uniedu.go,kr) 자료마당-발간자료 이용문의에서 신청해주시면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북한지식사전은 북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용어들을 선정하여 사전 방식으로 배열한 자료입니다. 독자들의 폭넓은 이해를 돕기 위해 용어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⑮ 베를린에서 만난 서울과 평양 : (탈)분단 도시의 열망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하였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⑭ DMZ를 보고합니다 : 평화와 생명의 현장을 찾아서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하였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⑬ 스크린으로 만나는 한반도: 한국 영화 속 분단 이야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하였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⑫ 미리 써본 북한 여행 기획서: 평화가 오면 어디부터 갈까요?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하였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⑪ 생태의 시대와 DMZ: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하여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하였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⑩ 그림으로 떠나는 금강산 여행, 화폭 속 화가들의 발자취를 따라
통일부 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⑨ 100년 전 역사에서 통일을 묻다, 고종부터 신채호까지 가상 역사 토론
통일부 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⑧ 통일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 여론으로 읽는 북한과 통일
통일부 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⑦ 아빠와 딸, DMZ를 걷다 : 비무장지대의 우리 역사를 찾아서
통일부 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⑥ 북한 뉴스 바로 보기 : 인포데믹 시대에 북한 뉴스 읽기
통일부 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 출판사가 공동 기획·제작한 <손안의 통일>은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습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⑤ 분단을 건너는 아이들: 탈북 청소년 수기(정은찬 엮음)
딱딱한 이미지의 기존 통일교육 도서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서로서 발간된 시리즈 도서입니다.통일‧북한 문제가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통일문제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④ 혐오 시대 헤쳐가기: 심리학으로 본 북한 혐오(김태형 지음)
딱딱한 이미지의 기존 통일교육 도서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서로서 발간된 시리즈 도서입니다.통일‧북한 문제가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통일문제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③ 북한에서 사업하기: 통일 시대를 위한 기업 매뉴얼(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임을출 지음)
딱딱한 이미지의 기존 통일교육 도서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서로서 발간된 시리즈 도서입니다.통일‧북한 문제가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통일문제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② 우리의 소원은 평화: 청소년이 생각하는 평화와 통일 이야기 (인디고서원 지음)
딱딱한 이미지의 기존 통일교육 도서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서로서 발간된 시리즈 도서입니다.통일‧북한 문제가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통일문제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손안의 통일 시리즈 ① 더 나은 통일을 위한 대화: 보수‧진보가 함께 쓴 평화‧통일을 준비하는 13가지 물음 (평화‧통일비전 사회적대화 전국시민회의 지음)
딱딱한 이미지의 기존 통일교육 도서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중서로서 발간된 시리즈 도서입니다.통일‧북한 문제가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통일문제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동요를 부르면서 읽는 통일 그림동화 『남떡 북떡 쑥떡쑥떡』 오디오북(동요 7곡 포함)
남․북 어린이가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새롭게 규칙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그린 통일 그림동화 『그래! 달라도 괜찮아!』 오디오북
남북어린이가 진정한 친구가 되는 과정을 그린 통일 그림동화 『사라진 마법의 구슬』 오디오북
남북어린이의 우정을 그린 통일 그림동화(2019년 발간) 『캠핑 가는 날』 오디오북 입니다. (2020년 제작)
[영상 소개]
여러분은 통일이 된 한국의 모습을 상상한 적이 있나요?
만약 통일이 된다면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가요?
지금부터 독일 통일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같이 한번 살펴보아요
[활용가능 교과]
- 초등학교 6학년, 도덕 > 무력통일과 평화통일
1. 독일의 통일 과정
2. 우리나라가 통일이 된다면?
[영상 소개]
우리나라에는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아주 많아요!
대표적인 장소로는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백두산, 태백산맥에 있는 금강산, 유네스코에 등록된 개성역사문화지구, 남한에서 가장 높은 한라산이 있어요.
음식으로는 매콤새콤한 김치, 달짝지근한 불고기, 나물과 고추장을 슥슥 비벼먹는 비빔밥, 냉면(평양냉면, 함흥냉면)이 있고요.
인물과 유적으로는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 왜군을 물리쳐 우리나라를 지킨 이순신 장군, 북한 평양에 있는 고구려 고분도 있지요.
[활용 가능 교과]
- 초등학교 1학년, 슬기로운 생활/즐거운생활) 우리나라를 소개해요
1. 소제목('우리나라의 멋진 장소를 소개해요!')
2. 소제목('우리나라의 음식을 소개해요!')
3. 소제목('우리나라의 인물과 유적을 소개해요!')
떡을 좋아하는 남쪽 북쪽 동물들이 남북 사이에 있는 '사이 큰 숲'에 모여 정겹게 노래 부르며, 떡을 쿵덕쿵덕 만들고 쑥떡쑥떡 나눠 먹으며 즐기는 과정을 표현한 동화책(동요 7곡 포함)
남과 북의 어린이가 구슬‧기차‧순천이라는 소재를 통하여 진정한 친구가 되는 내용을 따듯한 그림체로 표현한 동화책
남과 북의 어린이가 캠핑을 통해 진정한 친구가 되는 이야기의 동화책
남과 북의 어린이가 처음 만나 다름을 인정하고 진정한 친구가 되는 과정을 표현한 그림동화
남․북 어린이가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새롭게 규칙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그린 통일 그림동화 『그래! 달라도 괜찮아!』 애니메이션(수어)
[영상 소개] - 수어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이인정 교수님과 함께 용산에 위치한 전쟁기념관에서
한반도에서 일어난 가슴 아픈 전쟁, 바로 6.25 전쟁의 역사와 아픔을 알아가 보려고 합니다.
6.25 전쟁이 왜 생겼는지 알려면 한국전쟁이 시작된 시기를 살펴봐야 하는데요.
지금부터 그 이야기를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활용 가능 교과]
- 초등학교 5학년, 사회> 6.25 전쟁으로 사람들이 겪은 어려움
1. 소제목('6.25 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2. 소제목('전쟁 후, 어떤 어려움을 겪었을까?')
3. 소제목('피난민은 어떻게 살았을까?')
애니메이션 [반지의 비밀일기] 통일스페셜 - 고양이와 수상한 사촌 편의 청각장애인용 영상(수화)
(내용) 버려진 아기 고양이들을 발견한 반지와 친구들. 집에 데려가 키우려 하지만 부모님반대로 대신 키워줄 사람을 찾아주려 한다.
이 때, 친구 뺀돌이의 탈북민 사촌을 만나게 되고, 낯선 말투에 그를 피하게 되는데...
* 본 영상의 저작권은 제작사(쏘울크리에이티브)에서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래동화에는 조상들의 기쁨과 슬픔, 지혜가 담겨 있다.
북한 어린이들이 즐겨 읽는 전래동화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고, 친숙한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한반도에서 함께 살던 조상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이야기임을 알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마셜계획과 코민포름, NATO와 WTO의 대립 등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냉전체제가 형성된 역사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냉전체제가 독일, 중국, 베트남, 쿠바, 그리고 한반도에 미친 영향을 살핀 다음,
데탕트 이후 냉전체제가 종식되고 전 세계의 시장경제가 활성화되며 각국의 상황과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조망한다.
이렇게 세계의 냉전은 끝이 났지만, 우리의 분단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