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북한 지식사전

북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용어를 그 유래와 의미를 사전방식으로 설명하였습니다.

2021년 발간된 책자의 내용을 웹 버전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책자원본은 자료마당 - 도서자료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서 북한 지식사전 (2021) 낱장 다운로드 도서 북한 지식사전 (2021) 펼침 다운로드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연구개발과

2022-07-01 10:22:40.0

조회463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농근맹)은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청년동맹), 조선직업총동맹?(직맹),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여맹)과 함께 북한의 4대 근로단체의 하나로 북한 농민들을 대상으로 조직된 사회단체이다.

배경(연혁)

북한은 광복 직후인 1946년 1월 31일 ‘전국농민조합총연맹’(1945년 12월 8일 결성된 전국 농민조직)의 분맹으로 ‘북조선농민동맹’을 조직하였고, 6·25전쟁 중이던 1951년 2월 11일 ‘북조선농민동맹’을 남측의 ‘농민조합총연맹’과 통합해 ‘조선농민동맹’으로 승격하였다. ‘조선농민동맹’은 1950년대 말 토지 개혁 및 농업 협동화와 관련하여 해체되었다. 이후 1964년 6월 당중앙위원회 제4기 제9차 전원회의에서 ‘사회주의 농촌문제에 관한 테제?’(1964년 2월 발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선농업근로자동맹?(농근맹)’으로 개편키로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9개월 동안 각 도와 군 조직 구성을 마치고 1965년 3월 25일 창립대회를 열고 공식 재출범하였다. 북한은 농근맹 결성일을 북조선농민동맹이 조직된 날인 1946년 1월 31일로 삼고 있다.

주요 내용(기능)

농근맹은 동맹의 규약에서 ‘당과 우리나라 농업 부문의 근로대중을 연결하는 인전대’로 규정되고 있어 농민층에 대한 당노선과 사상교양을 규율·통제하는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른 농근맹의 주요 임무로는 △사회주의 농촌 건설 촉진 △농촌에서 사상·기술·문화 3대 혁명 적극 추진 △도시와 농촌 간의 차이, 노동 계급과 농민 간의 계급적 차이를 점차 없애기 위한 투쟁 △비당원 사상교양사업 등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농근맹은 1965년 재출범 때부터 1971년 중앙위원회 제14차 전원회의까지 당의 지도하에 활동하는 가운데 천리마작업반운동과 사회주의경쟁운동에 있어서 주된 도구로서 활동하였다. 한편 1972년 농근맹 제2차 대회에서부터 중앙위원회 제18차 전원회의까지 여타 외곽단체와 마찬가지로 김정일 후계준비와 관련하여 대를 이은 혁명사업 계승과 완성을 중시하는 가운데 농업자원 형성을 위한 당의 도구로서 활동하였다.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기에도 사상교양사업 등 당이 부과하는 농촌사업에 대한 정치적 선전사업을 지속하였다.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에는 농장 수입 증대 등 실리 위주의 방식을 시도하는 등의 부분적인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농근맹 역시 농민층의 이익단체로서의 역할보다는 당의 정책적 목표에 따라 좌우되는 외곽단체로서의 ‘방조자’ 역할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농근맹은 농·축산 근로자, 농업기관의 사무원 등 기존 회원이었던 협동농장원뿐만 아니라 국영 목장과 농촌 경리에서 직접 복무하는 기관·기업소(공장)의 노동자 및 사무원 중에서 노동당원이 아닌 만 30세 이상이 포함된다. 이 분야의 종사자라도 노동당원이면 농근맹 소속이 아니다. 농근맹에 가입된 인원은 130여만 명으로 추정된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연구개발과 2022-07-01 10:23:38.0
현재글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연구개발과 2022-07-01 10:22:40.0
다음글 조선그리스도교연맹 연구개발과 2022-07-01 10:18: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