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북한 지식사전

북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용어를 그 유래와 의미를 사전방식으로 설명하였습니다.

2021년 발간된 책자의 내용을 웹 버전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책자원본은 자료마당 - 도서자료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도서 북한 지식사전 (2021) 낱장 다운로드 도서 북한 지식사전 (2021) 펼침 다운로드

군사칭호

연구개발과

2022-06-23 16:55:44.0

조회562

군사칭호?

북한에서는 군인의 계급을 ‘군사칭호?’라고 부른다.

『조선말대사전』에서는 군사칭호?를 “군인의 군사적 전문 부문과 자격 및 상하급 관계를 규정하는 국가가 제정하는 칭호”라고 설명하고 있다.

북한군의 계급구조는 서방국가는 물론 여타 사회주의 국가와도 다소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계급장은 소위에서 대장까지 각급 군관과 장성이 모두 별을 사용하고 있으며, 별의 숫자와 크기 및 바탕무늬로 계급과 군이 구별된다. 차수는 ‘특대성’(왕별)을 계급장에 사용하고 있으며, 원수는 ‘특대성(特大星)’과 함께 북한의 ‘국장’을 사용하여 강력한 권위를 부여하고 있다.

북한의 군사칭호?는 1952년 12월 3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에서 최초로 제정되었으며, 크게 원수, 장령, 군관으로 분류된다. 원수급은 (대)원수, 차수이며, 장령급은 대장, 상장, 중장, 소장이다. 군관급에서 좌급군관(영관급)은 대좌, 상좌, 중좌, 소좌이고, 위급군관은 대위, 상위, 중위, 소위로 구분된다.

원수급은 북한 특유의 군사계급으로 원수와 차수로 나누어지는데, 6·25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1953년 2월 최고인민회의? 결정(1952. 12)에 의거해 김일성과 최용건 민족보위상이 각각 ‘원수’와 ‘차수’에 올랐다. 특히, ‘대원수’ 계급은 1992년 4월 김일성의 80회 생일을 기념하여 당중앙위원회, 당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중앙인민위원회 공동 결정으로 김일성을 대원수로 추대함으로써 최초로 등장한 계급이다. 김정일은 70회 생일이자 사망 후 첫 생일을 맞아 2012년 2월 16일 대원수에 추대되었으며, 김정은은 2012년 7월 17일 원수로 추대됐다.

한편, 인민군 사병은 사관(하사관)과 병사로 나뉜다. 사관에는 특무상사, 상사, 중사, 하사가 있으며 병사는 상등병, 전사로 구분된다. 그러나 1998년 4월 사병 계급체계 세분화 작업을 통해 전사와 상등병의 2단계를 전사 → 초급병사 → 중급병사 → 상급병사의 4단계로 세분하고 군 복무기간을 13년으로 연장했다. 1993년 4월부터는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만 10년을 복무해야 제대할 수 있는 ‘10년 복무연한제’를 실시하고, 2003년 3월에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0기 제6차 회의에서 ‘전민 군사복무제’를 법령으로 채택하여 남자는 10년, 여성은 지원 시 7년으로 의무 복무기간을 정하고 있다. 특수부대의 경우 13년 이상 장기 복무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이 같은 기본 계급체계 외에 1957년부터 ‘초기복무사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초기복무사관은 별도의 계급체계가 아니고 레이더, 통신기기 등 특수 분야에서 복무하던 사병들을 제대시키지 않고 장기 복무시켜 공백 기간 없이 전문성을 유지하려는 의도에서 만든 제도이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군사칭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군수동원총국(군수동원지도국)/군사동원국 연구개발과 2022-06-23 16:57:23.0
현재글 군사칭호 연구개발과 2022-06-23 16:55:44.0
다음글 군무생활 10대 준수사항 연구개발과 2022-06-23 16:5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