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

유니통이 현장스케치

그것이 알고 싶다! 북한 사투리 편

조회10291

그것이 알고 싶다! 북한 사투리 편

나눔선

해당 기사는 통일교육원의 공식 입장이 아닌 제11기 통일부 대학생기자단의 기사입니다.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북한 사투리 1

그것이 알고 싶다! 북한 사투리 편

- 송채린 기자

연평해전, 태극기 휘날리며, 실미도, 웰컴 투 동막골, 베를린, 고지전, JSA 공동 경비구역, 강철비, 은밀하게 위대하게, 쉬리 등등 이 영화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이영화들을 통해 우리는 북한 사투리를 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매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북한 사투리를 접하고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북한 사투리', 과연 하나뿐일까요?

정답은 바로 'X'입니다! 북한은 평양말을 중심으로 한 표준어인 '문화어'뿐만 아니라 지역마다 고유한 사투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대표적인 사투리로는 함경도, 황해도, 평안도 사투리가 있습니다! 어떤 형태를 띠고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매우 많으실 텐데요.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경도 사투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억양이 강한 편이다.
② 평안도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③ 부정 부사를 자주 사용하며 그 위치가 다르다.
④ 독특한 친족 호칭어를 가지고 있다.
⑤ 함경북도에서는 평서문에 '-음메다/슴메다'를 붙인다.
⑥함경남도에서는 평서문에 '-슴둥'을 붙인다.

다음은 황해도 사투리를 알아보겠습니다.
① 모음 탈락이 잦다.
② 'ㅇ' 탈락이 이루어진다.
③ 'ㅎ'을 'ㅅ'으로 발음한다.
④ 'ㅐ'를 'ㅑ'로 발음한다.
⑤ 존재 어미로는 '-시다, -쉬다, -쉐다'를 붙인다.
⑥ 친족 호칭어는 평안도 사투리와 가깝다.

마지막으로는 평안도 사투리입니다.
① 'ㄷ'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② 주격조사로 '-레'를 사용한다.
③ 남한의 단어와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가 존재한다.
④ 의문문 표현에서 '-니'가 아닌 '언'을 붙인다.

지금까지 북한 사투리를 살펴보았는데요. 북한에서는 1964년에 문화어가 등장하고 1970년부터는 '말 다듬기' 사업이 진행되면서 북한 사투리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남북 모두 사투리가 사라지고 있는 추세지만, 지역마다 고유의 사투리가 존재한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통일 이후에 각 지역별 교류가 가능해 진다면, 서로의 사투리를 접하며 그 속에 담긴 문화까지 알아갈 수 있는 기회 또한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통일이 되어 북한 사투리를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날이 오길 희망합니다!

『참고자료』
-MBC NEWS, '톡톡 북한 이야기 <북한 사투리의 모든 것>', 2014.10.14, http://imnews.imbc.com/weeklyfull/weekly07/3541403_17999.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어', (검색일 : 2018.6.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4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평안도방언>, (검색일 : 2018.6.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867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황해도방언>, (검색일 : 2018.6.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9%A9%ED%95%B4%EB%8F%84%EB%B0%A9%EC%96%B8&ridx=0&tot=1
-통일뉴스 이종겸, "서북방언과 평안방언", 2014.08.12, (검색일 : 2018.06.06),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507
-KBS 북한백과, <황해도 방언>, 2006.03.19, (검색일 : 2018.06.06), http://office.kbs.co.kr/tongil1/archives/4286
-곽충구, 「[고향 말을 찾아서] 옛말을 많이 간직한 함경도 방언」, 국립국어원, 2007.06.
-고영근, 『북한의 언어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년, p.175~253

『사용된 글꼴』
-배달의민족 도현
-kopub light medium bold

제11기 통일부 대학생 기자단(유니콘) 송채린 기자

데칼코마니 평화를 찾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그것이 알고 싶다! 북한 사투리 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북한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다? 교육총괄과 2018-08-28 16:17:02.975
현재글 그것이 알고 싶다! 북한 사투리 편 교육총괄과 2018-07-30 14:18:46.068
다음글 데칼코마니 평화를 찾다 교육총괄과 2018-07-30 13:32:09.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