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남북관계(통일문제)] 군사분계선(휴전선)

연구개발과

2024-01-15

조회609

군사분계선(Military Demarcation Line, MDL)은 1953년 7월 27일, 22시 6.25전쟁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군사적 충돌을 막기 위해 생긴 경계선이다.

휴전의 과정

정전협정이란 전쟁을 잠시 중단하는 군사 협약으로 6.25전쟁 중지에 합의하면서 유엔군, 북한군, 중공군이 체결한 협정을 의미한다. 전쟁이 시작된 후 약 1년간 치열한 전면전이 진행되었으나, 1951년 7월 10일부터는 휴전회담이 진행되면서 영토를 조금이라도 더 차지한 상태로 휴전을 맞이하기 위해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끊임없는 전투가 이루어졌다. 현재 설정된 군사분계선은 이러한 전투 결과에 따라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당시의 접촉선을 기준으로 형성되었다. 이후 남과 북은 전쟁을 잠시 중단하는 휴전 상태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아직까지도 전쟁이 완전히 종결되지는 않았다.

군사분계선의 현재

군사분계선은 철책선이나 담을 설치하지는 않아 눈에 보이는 실제 선은 아니다. 대신 한강 입구부터 강원도 고성군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표지판들이 세워져 있다. 또한 군사분계선이 설정된 이후에는 서로 간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과 북 양쪽으로 2km씩, 너비 4km 구간으로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를 만들었다. 쌍방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허락 없이는 어떠한 사람도 군사분계선을 통과할 수 없다.

더 알아보기(군사분계선과 38선의 의미)
군사분계선은 유엔군, 북한군, 중공군 총사령관이 주체가 되어 정전협정 당시(1953.7.27.) 만들어 졌으며 정전협정 당시의 군사 접촉선이었다. 38선은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한반도에 온 미국과 소련이 주체로 광복 직후부터 6.25전쟁 이전까지 만들어졌으며 한반도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북위 38선이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남북관계(통일문제)] 군사분계선(휴전선)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남북관계(통일문제)] 공동어로구역 연구개발과 2024-01-15
현재글 [남북관계(통일문제)] 군사분계선(휴전선) 연구개발과 2024-01-15
다음글 [남북관계(통일문제)] 남북도로·철도연결 연구개발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