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남북관계(통일문제)] 판문점

연구개발과

2024-01-15

조회137

판문점은 남과 북이 공동으로 경비하는 공동경비구역(joint security area, JSA)을 대중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비무장지대의 군사분계선상에 있는 구역으로서 남북 간의 회담이 개최되는 건물을 포함하여 그 주변의 장소를 의미한다.

판문점의 기능과 역할

6.25전쟁중 개성에서 개최된 휴전회담을 위한 예비회담 당시, 주변 북한군이 무력시위를 하는 등 회담장소의 중립성이 문제가 되자 북한군 측은 새로운 회담 장소로 ‘널문리 주막 마을’을 제안하였다. 6.25전쟁 이전에는 경기도의 작은 농촌마을이었던 널문리, 즉 판문점은 휴전회담이 열리면서 국제적인 관심을 받는 장소가 된 것이다. 휴전 당시 유엔군, 중공군, 북한군의 회의 진행을 위해 처음 설정된 판문점은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을 맺은 장소로 기능하였다. 휴전회담 이후 판문점은 포로교환이나 남북 왕래 등 사람이 넘나드는 통로로, 현재는 세계에서 가장 긴 휴전을 관리하는 곳이자, 남북간 대화와 접촉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판문점에서의 주요 사건

남과 북의 경비대대가 함께 관리하는 유일한 지역인 판문점은 남북한 사이의 접촉과 회담을 위한 장소 및 남북을 왕래하는 통과지점으로 활용되어 왔다. 판문점에서의 주요 사건을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53.7.27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정전협정) 체결
1971.9.20 남북적십자예비회담 개최
1994.6.15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 판문점 경유 방북 및 귀환
1998.6.16 판문점을 넘어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 소떼 방북
2018.4.27 제1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개최, ‘판문점 선언’ 발표
2018.5.26 제2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개최
2019.6.30 남(문재인 대통령)·북(김정은 위원장)·미(트럼프 대통령) 정상 판문점 회동
더 알아보기(판문점의 시설과 구조)
1.통일각 기능:북측 남북회담시설 주요사건:제2차 판문점 정상회담 개최 2.판문각 기능:북측 적십자 연락업무,종전 후 첫 공식 접촉인 1971년 적십자회담을 계기로 연락사무소와 직통 전화가 설치된 역사적인 곳 3.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기능: 남북이 공유하여 선착순으로 사용 주요 사건: 정전협정관련 회의 진행 4.돌아오지 않는 다리 기능: 다리 중간이 군사분계선으로, 한번 건너면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주요 사건: 전쟁 이후 포로교환 5.평화의 집 기능: 남측 남북 회담시설 주요 사건: 제1차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개최 6.자유의 집 기능: 남측 적십자 연락 및 회담지원 업무 주요 사건: 남·북·미 정상 회동 개최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남북관계(통일문제)] 판문점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남북관계(통일문제)] 통일편익 연구개발과 2024-01-15
현재글 [남북관계(통일문제)] 판문점 연구개발과 2024-01-15
다음글 [남북관계(통일문제)] 체육교류 연구개발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