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생활] 분조관리제

연구개발과

2024-01-15

조회111

분조관리제는 북한의 협동농장에서 실시하는 기본적인 운영관리방식으로 농사일을 담당하는 가장 작은 기본단위인 분조(分組)가 중심인 운영방식이다.

분조관리제의 실시 과정

북한에서는 1960년대부터 분조관리제를 시행해왔으나 김정은 집권 이후 생산성 향상을 위해 분조 당 인원을 기존 10~25명에서 3~4명 단위로 나누어 가족단위 분조관리제를 실시하고 있다. 2012년 6월 28일 김정은이 ‘현실 요구에 맞게 우리식의 경제관리 방법을 연구, 완성할 것’을 지시하면서 북한에서 경제관리 개선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6.28 조치에 따른 가족단위 분조관리제 핵심내용

가족단위 분조관리제의 핵심내용 중 하나가협동농장의 분조 인원 축소로 이는 협동농장의 작업분조 단위를 기존 10~25명에서 가족·친지 단위의 3~4명으로 축소하여 논밭을 경작하도록 한 것이다. 계획 생산량에 대해서는 국가와 분조가 7:3 혹은 6:4의 비율로 나누되 계획 초과 생산량은 모두 분조가 가져갈 수 있도록 하였다. 2014년 이후에는 4:6제가 시행되어 농민들이 국가보다 많은 60%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근로의욕을 더욱 높이고자 하였다. 가족단위 분조관리제의 실시 목적은 노동과 실적에 맞게 생산물을 분배함으로써 농민의 근로의욕을 높여 농업생산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북한은 가족단위 분조관리제 도입이 2013년과 2014년도 농산물 생산증대에 이바지했다고 공표하고 있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경제생활] 분조관리제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경제생활] 배급제 연구개발과 2024-01-15
현재글 [경제생활] 분조관리제 연구개발과 2024-01-15
다음글 [경제생활] 신용카드(나래카드, 전성카드) 연구개발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