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생활] 종합시장

연구개발과

2024-01-15

조회110

‘장마당’은 1990년대 북한의 경제난이 심화되어 배급제가 중단되자 주민들 간 물품 거래가 활성화 된 시장으로 오늘날은 ‘종합시장’의 형태로 운영되며 ‘지역시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북한 시장의 역사

북한은 계획경제체제 속에 배급제를 실시하였으나 주민들 간 물물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이 존재해 왔다. 1990년대 심각한 경제난으로 북한의 배급제가 사실상 붕괴되면서 장마당은 배급제를 대체해 주민들의 수요를 해결하는 공간이 되었다. 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와 2003년 3월 종합시장 상설화를 담은 조치가 발표되면서 시장은 공식적으로 합법화되었고 농산물만 판매하던 농민시장은 공산품을 비롯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종합시장으로 확대되었다

북한 시장화 확산 과정
1단계(1958년~1980년대 말) 특징 농민시장을 중심으로 한 시장화 과정 운영형태 식량거래금지,잉여농축산물·부산물·소소한 가내수공업제품 거래 2단계(1990년~1990년대 말) 특징 농민시장을 중심으로 한 시장화의 공간적 확대 운영형태 농민시장의 상설화 (식량, 공산품 등 거래) 3단계(2000년대 이후) 특징 시장의 제도적 허용 운영형태 상설시장 운영, 소비재, 중간재, 수입재 전문 시장으로 분화 운영 도입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경제생활] 종합시장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경제생활] 외화벌이꾼 연구개발과 2024-01-15
현재글 [경제생활] 종합시장 연구개발과 2024-01-15
다음글 [경제생활]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연구개발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