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교육제도·학교생활] 현장체험학습

연구개발과

2024-01-15

조회118

북한 역시 우리나라의 소풍이나 수학여행 같은 현장체험학습이 있는데 당일로 나가는 것을 원족 혹은 들놀이라 하고 며칠 동안 숙박하는 것을 답사 혹은 견학이라고 한다.

당일 현장체험학습

원족 혹은 들놀이는 우리의 소풍과 같은 것으로 봄과 가을에 주로 나가며 보통 산으로 간다. 우선 일찍 산에 올라 오전에 운동회를 한다. 밧줄당기기, 병 끼고 달리기, 보물찾기, 선생님 업고 달리기 등 여러 경기를 진행한다. 현장체험학습 날 북한에서는 밥, 삶은 계란, 반찬이 담긴 도시락을 싸와 친구, 선생님과 함께 나누어 먹는다. 점심식사 후 오후에 다시 모여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춤추기 등 장기자랑을 하며 다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답사 활동

북한에서는 수학여행을 답사 혹은 견학이라고 한다. 답사는 중학교에서는 졸업학년에 한번, 대학교에서는 매년 있다. 답사기간은 교육성에서 내려 보낸 과정 안에 명시된 답사 및 견학일수에 의거하는데 중학교는 보통 일주일, 대학교는 열흘 정도 진행된다. 북한에서 답사의 목적은 수령과 당에 대한 충성심을 기르는 것이므로 답사 장소는 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업적을 기리는 장소이다.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대학생들의 경우 대체로 도보를 이용한다. 일정 지역까지는 기차를 타고 그 다음부터 목적지까지는 배낭을 메고 걸어간다.

더 알아보기(대표적인 답사 경로)
대표적인 답사 경로, 백두산 혁명지 : 혜산에서 출발해 김일성의 혁명전적이 깃들었다는 보천보, 삼지연 등을 거쳐 백두산을 등반하고 김정일의 생가라고 선전하는 백두밀영고향집 등을 둘러보는 방식으로 진행. 만경대 고향집 : 만수대 언덕의 김일성, 김정일 동상을 찾아 헌화를 한 후 김일성의 만경대 고향집과 만경대혁명사전관 등을 둘러보는 방식으로 진행. 양강도 포평 : 평양을 출발하여 개천, 향산, 강계 등을 거쳐 양강도 포평까지 걸어가는데 포평에는 김일성이 압록강을 건넌 나루터와 같은 각종 혁명사적지가 있어 김일성 주석에 대한 충성심을 독려하는 방식으로 진행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교육제도·학교생활] 현장체험학습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교육제도·학교생활] 학생소년궁전 연구개발과 2024-01-15
현재글 [교육제도·학교생활] 현장체험학습 연구개발과 2024-01-15
다음글 [북한문화] 가요 연구개발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