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문화] 패션

연구개발과

2024-01-15

조회95

북한에서 패션의 의미

북한에서의 패션은 기본적으로 한 사람의 생각과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김정일 시기에 “옷차림과 몸단장은 사람들의 사상 정신 상태와 문화생활 수준의 반영입니다.”라고 한 것처럼, 북한 사람들의 옷차림과 몸단장은 매우 중요하다. 북한은 주로 단체복 문화에 익숙하지만, 최근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성이 강조되는 패션이 등장하고 있다.

북한의 시대별 패션유행
~1990년대 배급품이 아닌 옷을 구하기 쉽지 않았음 주로 배급받은 옷을 착용하여 모두가 비슷한 차림새,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여성들은 집에서 스스로 옷을 제작함. 하지만 ‘사회주의 생활양식’의 범위 안에서만 개성을 드러낼 수 있었음 출근 복장 : 정장 및 한복, 여성의 경우 화려하지 않은 투피스 정장 2000년대 이후 북한 당국의 의류 공급 차질로 인한 시장의 활성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외부 의류의 유입, 패션에 관심이 높아지고, 주민들의 옷차림에 큰 변화가 생김, 꽃무늬, 원색을 이용한 화려하고 다양한 패션을 추구, 무릎이 드러나는 짧은 치마 착용 김정은 집권 이후 화려한 무늬의 의복, 화려한 장신구, 허리선이 들어간 블라우스, 하이힐 착용, 리설주의 등장으로 유행 가속화, 여성의 바지 착용 허용, 브랜드 가방의 모조품 시장에 등장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북한문화] 패션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북한문화] 집단체조 연구개발과 2024-01-15
현재글 [북한문화] 패션 연구개발과 2024-01-15
다음글 [북한문화] 화장품 연구개발과 202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