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지리·지역] 행정구역

연구개발과

2024-01-12

조회135

북한의 행정구역은 크게 1개의 평양직할시, 3개의 특별시, 그리고 9개의 도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직할시’ 및 ‘특별시’라는 명칭은 행정적인 분류를 위해 사용하며 북한 내부에서는 ‘평양시’ 및 ‘개성시’ 등이 공식 명칭으로 사용된다. 특별시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시로서, 나선특별시, 남포특별시, 개성특별시가 있다. 그리고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강원도, 자강도, 양강도의 9개 도로 이루어져 있다.

북한 행정구역의 분포

북한의 하위 행정단위는 아래 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단, 우리나라에서는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1945년 8월 15일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행정구역 개편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인정하는 북한의 행정구역은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의 이북5도와 미수복 경기도, 미수복 강원도에 해당한다.

북한 하위 행정구역의 분포 계 25시 146구 41구역 146읍 1,191동 2,956리 298노동자구 1. 평양직할시 2군 18구역 2읍 290동 80리 12노동자구 2. 나선특별시 2읍 35리 3. 남포특별시 2군 5구역 2읍 76동 50리 7노동자구 4. 개성특별시 1시 2구역 31동 33리 5. 평안남도 5시 15군 15읍 124동 302리 38노동자구 6. 평안북도 3시 22군 22읍 87동 423리 44노동자구 7. 함경남도 3시 16군 7구역 16읍 165동 426리 34노동자구 8. 함경북도 3시 12군 7구역 12읍 140동 242리 51노동자구 9. 황해남도 1시 19군 19읍 28동 417리 18노동자구 10. 황해북도 2시 18군 18읍 51동 328리 16노동자구 11. 강원도 2시 15군 15읍 61동 321리 10노동자구 12. 자강도 3시 15군 15읍 70동 205리 25노동자구 13. 양강도 2시 10군 10읍 33동 129리 43노동자구
북한 행정구역의 특징

시, 군, 읍, 동 등의 분류를 활용한다는 점은 남북한이 동일하나, ‘특별시’, ‘직할시’ 등의 명칭과 그 의미를 다르게 쓴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 남한에서 사용하는 ‘구’ 대신 북한에서는 ‘구역’이라는 명칭을 활용하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남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노동자구’의 분류를 활용한다. ‘노동자구’는 노동자들을 보다 쉽게, 집단적으로 관리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주민의 400명 이상이 성인이고 그들의 65% 이상이 노동자인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로 공업단지, 광산지역, 어촌 등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북한지리·지역] 행정구역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북한지리·지역] 평양거리 연구개발과 2024-01-12
현재글 [북한지리·지역] 행정구역 연구개발과 2024-01-12
다음글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