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청소년 통일사전

청소년(중고등학생)들의 학습와 이해를 돕고자 발간된 '청소년 통일사전(2022년)'에 수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중요한 개념을 사전 형식으로 배열하여 소개하였습니다.

* '청소년 통일사전'의 전체 내용이 궁금하시면 자료마당>도서>교육용 도서 카테고리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체제] 조선노동당

연구개발과

2024-01-12

조회154

조선노동당은 북한에서 최고의 위상과 권한을 지닌 권력 기구이다. 다른 기관이나 단체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북한에서 진행되는 모든 정책은 노동당의 지도와 통제 아래에서 추진된다.

조선노동당의 연원

북한은 1945년 10월 10일을 조선노동당 창건일로 공식화하여 1949년부터 ‘사회주의 명절’로 기념하고 있다. 창당 이래 조선노동당은 여러 차례 성격변화를 거쳐 왔다. 1950년대 중반까지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당이념으로 설정하고 남북한 통일정부 수립을 목적에 두었다. 1960년대 말까지는 당이념에 ‘혁명전통’이 추가고 한반도 전체에서의 ‘반제·반봉건 민주주의 혁명’을 목표로 규정하였다. 이후 1980년 당6차 대회에서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와 공산주의 사회건설’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

조선노동당의 역할과 위상

북한에는 몇 개의 정당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상 노동당이 북한 정권 수립 이후 유일 정당으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북한 헌법 제11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노동당의 영도 밑에 모든 활동을 진행한다.”라고 규정한다. 노동당의 당 규약에도 “노동당이 노동계급과 대중의 핵심 부대로서 정치, 군사, 경제, 문화를 비롯한 모든 분야를 통일적으로 이끌어나가는 사회의 영도적 정치조직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더 알아보기(조선노동당의 조직 구성)
조선노동당은 일당 지배체제가 제도화되어, 당원의 합의보다는 수령을 중심으로 하향식 지시에 따르는 운영체계를 갖추고 있다. 당조직의 최고지도기관은 당대회이며, 당대회가 열리지 않을 때에는 당대회가 선출한 당중앙위원회가 최고지도기관이 된다. 이를 중심으로 지역 및 사업단위별로 하위 당조직이 형성되어 있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북한체제] 조선노동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북한체제] 정치범수용소 연구개발과 2024-01-12
현재글 [북한체제] 조선노동당 연구개발과 2024-01-12
다음글 [북한체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연구개발과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