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제 : 『북한 청소년들의 집, 학교, 일상 이야기』
북한 청소년들의 학교와 일상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질문과 답변을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통일이 되면 함께 살아가야 할 북한 청소년들의 생활 속 이야기! 함께 알아볼까요?
교육총괄과
2016-12-29
조회11,135
북한에서 여름방학은 소학교(우리의 초등학교)의 경우는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1달 정도이고, 초급중학교(우리의 중학교)와 고급중학교(우리의 고등학교)의 경우는 8월 15일부터 8월 31일까지 15일 정도입니다. 겨울방학은 소학교의 경우는 1월 1일부터 2월 중순까지 한 달 반 정도이고, 초급 및 고급중학교의 경우는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한 달 정도입니다. 겨울에 날씨가 춥기 때문에 겨울방학이 훨씬 더 긴 것입니다. 그리고 북한에는 우리와 같은 봄방학이 없습니다.
남한의 고등학교 중에는 방학에도 보충수업이라고 해서 학교에 가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방학생활을 보내지요. 북한은 어떨까요. 북한의 학생들은 방학이라고 해서 마음대로 개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방학이라고 해도 정기적으로 학교로 나가서 방학과제를 제출하고, 소년단, 청년동맹의 방학계획 활동에 따라 조직생활도 해야 하기 때문이랍니다.
방학 때도 같은 학급 친구들 중에 비슷한 동네에 사는 6~7명 정도로 구성된 소년단 ‘반’ 을 중심으로 모여야 합니다. 반장이나 반원이 열심인 곳에서는 아침 일찍 모여서 아침달리기도 같이 하고, 독보(독서)를 하고, 방학숙제를 모여서 함께 합니다. 또 동네에 일손이 필요한 일이 있으면 달려가서 일손을 돕기도 합니다. 사실 방학이 되어도 여러분처럼 부모님을 따라서 휴가를 가거나 멀리 여행을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냥 동네에서 소년단 반 모임에 참여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기도 합니다.
방학기간 중에 10일에 한번은 비상소집일로 학교에 나가야 합니다. 학교에 나가서 청소도 하고, 방학숙제도 검사 받고, 방학 중에 어디 멀리 간 학생들은 없는지도 점검 받습니다.
겨울방학기간 중에 눈이 많이 온 날이면 학교에 달려가 눈을 치워야 합니다. 그리고 각 개인에게 할당된 폐품 수집량이 미달되었을 때, 방학을 이용해서 파지나 파철을 부지런히 주어두는 학생들도 있습니다. 이렇게 숙제도 해야 하고, 어른들 일손도 도와야 하고, 폐품도 모아야 합니다.
![]() |
[교육제도] 북한에도 명문 학교가 있나요? | 교육총괄과 | 2016-12-29 |
![]() |
[학교생활] 북한에서는 언제 방학하며 방학 동안에는 무엇을 하나요? | 교육총괄과 | 2016-12-29 |
![]() |
[교육제도] 북한에서는 어떻게 선생님이 되나요? | 교육총괄과 | 2016-12-29 |
이전글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