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교육과정은 평화와 통일, 남북관계와 북한문제에 대한 일반인의 공감대와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입니다.
평화와 통일, 공존과 번영의 한반도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반영한 과정입니다.
※ 수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교육공지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통일에 대한 관심은 왜 낮아지고 있을까요? 특히 2030세대의 관심도는 어떨까요?
활화산 백두산에 대하여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남북경협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봅시다.
남북경협, 평화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남북경협과 미국의 대외정책,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남북경협과 정치경제의 관계, 무엇일까요?
시대별 남북경협 정책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남북경협의 역사,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2000년대 남북경협 개관입니다.
2000년대 남북경협을 분석했습니다.
2000년대 남북경협은 어떤 의의를 갖고 있을까요?
남북경협과 분단체제는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요?
남북경협과 상생의 경제관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남북경협과 북한경제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남북경협과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에 대해 알아봅시다.
남북경협의 추진 방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남북경협, 어떻게 할까요?
남북관계의 패러다임 변화와 남북경협,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경험으로 돌아보는 남북경협, 함께 하실까요?
남북한의 개성 만월대 공동발굴 사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남북한의 궁예 도성 발굴 사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남북한 사찰 공동복원 등 지원 사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북한 벽화고분 보존처리 지원 사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북한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협력 사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남북한 유네스코 문화유산 교류협력의 시사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남북한 유네스코 문화유산 교류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봅시다.
남북한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시 고려 사항에 대해 알아봅시다.
남북한 유네스코 문화유산 공동 등재 추진에 대해 알아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