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세대교육과
2023-02-17
조회479
*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는 통일교육지원법 제8조 4항**에 근거, 2014년부터 시행
** 통일교육지원법 제8조(학교의 통일교육 진흥) ④통일부장관은 교육부장관과 협의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 북한은 협력 대상 : (학생) (’21) 52.6% → (’22) 38.7% (↓13.9%) (교사) (’21) 80.3% → (’22) 76.9% (↓3.4%)
* 북한은 경계 대상 : (학생) (’21) 27.1% → (’22) 38.1% (↑11.0%) (교사) (’21) 9.3% → (’22) 11.8% (↑2.5%)
* 분단 영향 있음 : (학생) (’21) 27.4% → (’22) 32.9% (↑5.5%) (교사) (’21) 59.4% → (’22) 62.5% (↑3.1%)
* 평화롭지 않음 : (학생) (’21) 30.2% → (’22) 55.7% (↑25.5%) (교사) (’21) 36.8% → (’22) 72.5% (↑35.7%)
* 통일 필요하다 : (학생) (’21) 61.2% → (’22) 57.6% (↓3.6%) (교사) (’21) 85.6% → (’22) 86.7% (↑1.1%)
-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학생과 교사 모두 ‘전쟁위협 해소’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통일 장애요인으로는 학생들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교사들은 ‘변하지 않는 북한체제’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습니다.
* 통일 장애요인 : (학생) △북한의 군사적 위협(30.1%) △변하지 않는 북한체제(26.9%)
(교사) △변하지 않는 북한체제(38.3%) △북한의 군사적 위협(11.5%)
* 통일교육 경험 : (학생) (’21) 78.5% → (’22) 82.7% (↑4.2%) (교사) (’21) 90.0% → (’22) 90.4%(↑0.4%)
- 교육 내용은 ‘남북간 평화의 중요성’, ‘통일이익’, ‘북한사람들의 생활과 사회모습’ 순으로, 대체적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내용과 일치하였습니다.
*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내용 : △통일이 가져올 이익(35.2%) △북한사람들의 생활과 사회모습(33.6%) △남북간 평화의 중요성(29.2%) △남북간 교류협력의 필요성(25.4%)
- 교육 방법은 ‘동영상 시청’, ‘강의, 설명식 교육’이 주를 이룬 반면, 학생들은 ‘체험학습’, ‘동영상 시청’, ‘게임, 이벤트 방식’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붙임 : 「2022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주요 내용 1부. 끝.
![]() |
2023 통일교육 기본서 발간 | 교육총괄과, 연구개발과 | 2023-03-14 |
![]() |
「2022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 미래세대교육과 | 2023-02-17 |
![]() |
2023년 대학 통일교육을 이끌어 갈 「통일교육 선도대학」을 모집합니다. | 미래세대교육과 | 2022-12-26 |
이전글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