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
* 통일교육지원법 제8조(학교의 통일교육 진흥) ④ 통일부장관은 교육부장관과 협의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 북한(정권)에 대해 ‘협력’ 응답율: 41.3%(2017) → 50.9%(2018) → 43.8%(2019)
* ‘통일 이미지’를 ‘평화․화합’으로 응답한 비율 : 32.0%(2017년) → 33.9%(2018년) → 34.0%(2019년)
*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로 응답한 비율 : 14.7%(2017년) → 21.6%(2018년) → 29.1%(2019년)
- 다만,‘통일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55.5%로 2018년 63% 대비 7.5%p 하락하였으며 2017년도 62.2%에 비해서는 6.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률: 62.2%(2017) → 63.0%(2018) → 55.5%(2019)
* 통일교육 경험 응답률 : 80.4%(2017) → 79.9%(2018) → 79.5%(2019)
- 교사들의 ‘학교 통일교육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 비율이 61.9%로 2018년 53.0% 대비 8.9%p 증가였으나, 2017년 63.6%에 비해서는 1.7%p 하락하였습니다.
* 학교 통일교육 운영이 원활하다는 응답률: 63.6%(2017) → 53.0%(2018) → 61.9%(2019)
붙임 1.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주요 문항별 결과 1부.
붙임 2. 통일교육원 사업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 개선 정도 결과 1부. 끝.
이전글 다음글 | |||
---|---|---|---|
![]() |
통일교육 안심하고 받으세요 | 교육연수과 | 2020-02-19 |
![]() |
2019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 발표 | 학교통일교육과 | 2020-02-11 |
![]() |
2020학년도 1학기 「통일·북한 강좌 및 특강 개설 지원 사업」 대학 선정 | 학교통일교육과 | 2020-01-31 |
이전글 다음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