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 캐릭터
애드 캐릭터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작성하신 검색어로 검색합니다.(새창 열림)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인쇄

유니통이 현장스케치

북한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다?

조회4166

북한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다?

나눔선

해당 기사는 통일교육원의 공식 입장이 아닌 제11기 통일부 대학생기자단의 기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제11기 통일부 대학생 기자단 유니콘 김세경 기자입니다. 북한 일상에선 순수 우리말만을 쓰는 거 아시나요? 우리나라에서 한자가 일상적으로 쓰이는 것과 달리, 북한에선 중국의 잔해를 없애고 독자성을 선전하기 위해 한자를 우리말로 바꾸는 사업을 펼쳤습니다. 그러다가 1960년대 초에 김일성은 북한에서도 한자를 배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 후 여러 가지 내용과 방법으로 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다가 지금은 6년제 고등학교 ‘과정안’에 ‘한문’이라는 과목을 두고 한자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일상생활에서 쓸 일이 없는 한자를 북한에선 왜 교육할까요? 북한에선 남북한 통일에 대비하고, 북한 사람들이 남한 사람들과 교제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의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북한 교육용 한자 단어 중에는 전쟁이나 군사와 관련된 것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鼳滅(격멸), 攻擊(공격), 步硝(보초) 등이 있습니다. 또한 교육용 한자 단어 중에 수령을 우상화하거나 봉건 군주와 그에게 절대 복장하는 신하 간에 쓰는 한자 단어도 많습니다. 그 예로 敬愛하는 首領 (경애하는 수령), 萬年長壽 (만년장수), 忠臣 (충신) 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전쟁·군사와 관련된 한자, 수령과 그 가계를 우상화하는 데 쓰이는 한자는 115개로 교육용 한자 1050개의 약 11%에 해당합니다. 이를 통해 북한에선 한자 교육을 통해 인민들의 사상도 교육시키려는 목적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북한의 한자 교과서 전문 (사진 출처: 조선 뉴스프레스)

북한의 한자 교과서 전문 (사진 출처: 조선 뉴스프레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북한에선 어떤 한자를 배울까요?

<1>남한과 형태는 같지만 뜻이 다른 한자어
첫 번째로 남한과 형태는 같지만 뜻이 다른 한자어의 경우 대게가 기존의 어휘에다가 혁명에 필요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생겨난 것들입니다. 재밌는 단어를 몇 가지만 살펴보겠습니다.

◇ 煽動 (선동)
: 남을 부추겨 어떤 일을 일으키게 함
: 과업을 잘 수행하도록 대중에게 호소하여 그들의 혁명적 기세를 돋구어주며 당 정책 관철로 직접 불러일으키는 정치사상 사업의 한 형태, 어떤 행동에 나서도록 부추겨 움직이는 것

◇ 資本家 (자본가)
: 기업을 경영 노동자를 고용하는 일
: 자본주의 사회에서 (근로인민 대중을 착취하고 남을 약탈하여 번) 많은 자본을 가지고 임금 노동자를 고용하여 그들이 창조하는 잉여가치를 착취하는 자

◇ 宮殿 (궁전)
: 제왕이 사는 궁, 대궐. 궁궐
: 어린이들이나 근로자들을 위하여 여러 가지 교양사업을 하는 크고 훌륭한 건물

◇ 共産主義 (공산주의)
: 사유 재산제를 부정하고 재산을 공유로 하는 주의, 사상
: 경제와 문화, 사상, 도덕의 모든 분야가 전문적으로 발전되었으며 지, 덕, 체를 갖춘 다방면적으로 발전된 새형의 인간들이 자연과 사회의 주인이 되어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 참으로 문명하고 유족한 생활을 마음껏 누리는 인류의 이상사회 또는 그러한 사회를 실현하려는 사상

◇ 將軍 (장군)
: 군을 통솔, 지휘하는 무관
: 김일성 동지를 존경하는 마음으로 전설적 영웅으로 우러러 받들어 부르는 명칭

보시다시피 북한에서 쓰이는 한자는 뜻이 남한보다 확대 해석된 것도 있고, 부정적, 긍정적으로 변화되기도 했습니다. 서로 같은 말을 해도 다르게 이해한다는 게 신기하게 느껴지지 않나요?

수업을 듣는 북한 학생들 (사진 출처: 북한 인사이드)

수업을 듣는 북한 학생들 (사진 출처: 북한 인사이드)

<2>북한에만 있는 한자어
두 번째로 알아볼 북한에만 쓰이는 한자어는 주로 공산주의 사회 건설에 필요한 정치, 경제, 사회에 관한 어휘들입니다. 이 한자어들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말들이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생소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에 나타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滿豊年 (만풍년): 모든 곡식과 열매가 다 잘되고 잘 여물어서 크게 풍년이 든 것
◇ 圓珠筆 (원주필): 색감을 넣은 심 끝에 딸린 동그란 쇠알이 돌아가면서 글자가 쓰이는 필기도구
◇ 直昇飛行機 (직승비행기): 기관에 의하여 돌아가는 수평 회전날개로 뜨고 나는 항공기
◇ 米帝 (미제): <미제국주의>의 준말
◇ 小組 (소조) : (같은 목적이나 지향 밑에 조직되는) 작은 집단이나 조직

우리에겐 확실히 낯선 어감의 단어들입니다. 그래도 한자를 보고 조금이나마 뜻을 유추할 수 있었습니다. 비록 낯선 단어일지라도 같은 언어로 쓰였기 때문에 우리말과 가까운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수업을 듣는 북한 학생들 (사진 출처: 북한 인사이드)

수업을 듣는 북한 학생들 (사진 출처: 북한 인사이드)

<3>남한에선 쓰지만 북한에선 잘 안 쓰는 한자어
세 번째, 북한에서만 잘 안 쓰이는 한자어는 북한에서 문화어 정책이나 언어교육 과정에서 수용되지 않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아 낯설어진 한자어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이런 단어들이 있습니다.

◇가장(家長)-한 가정을 이끌어 나가는 사람
◇가정(家庭)-가까운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 공동체
◇갑부(甲富)-첫째가는 큰 부자
◇결례(缺禮)-예의범절에서 벗어나는 짓을 함
◇겸허(謙虛)-스스로 자신을 낮추고 비우는 태도가 있음
◇곤혹(困惑)-곤란한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대지(垈地)-주위보다 고도가 높고 넓은 면적의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지형
◇돈독(敦篤)-도탑고 성실하다

이 단어들은 모두 아직까지 남한에선 활발히 쓰입니다. 이 단어들은 조선말대사전에 모두 수록되어 있는 것들로, 일제강점기까지 북한에서 쓰였던 말입니다. 그렇다면 왜 북한에선 이 단어들이 사라지게 됐을까요? 북한에선 ‘낡은 사회’, ‘봉건 시대’, ‘미신’, ‘종교’ 등과 관련된 언어를 사용상의 주의를 요구하거나 또는 다른 어휘로 순화해야 할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점점 사용하지 않으면서 북한에선 쓰이진 않는 한자어가 된 것입니다.

교과서를 낭송하는 북한 학생들 (사진 출처: 연합뉴스)

교과서를 낭송하는 북한 학생들 (사진 출처: 연합뉴스)

남북 분단이 70년이 넘어가면서 양쪽의 언어생활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에서 다양한 점검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 중에서도 한자 교육의 동질성 여부는 우리말 대부분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남한과 북한의 한자교육을 비교·연구하는 작업은 민족 동질성 회복을 위해서 소홀히 할 수 없는 분야입니다.
남북은 어문생활의 격차를 현실적으로 인지하고 통일을 대비해야 합니다. 기회가 온다면 남북이 상호협의를 통하여 공통의 준비과정을 거칠 필요성이 보입니다. 바람직한 남북한의 한자교육이 구성된다면 통일에 한 발짝 다가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제11기 통일부 대학생 기자단 유니콘 김세경이었습니다.

<출처>
정종남, 『남북한 한자어 어떻게 다른가』, 을지서적, 1999
안명철, 「남북한 및 베트남 한자어의 상관 관계」, 한국학연구 제22집, 2010.06.
진재교, 「북한의 한자문화와 그 사회ㆍ문화적 의미」, 아세아연구 통권 110호, 2002.
성은주, 「북한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고등 중학교 국어 1,2,3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994.
교양공감팀, 「[공감신문] 당신이 몰랐던 북한의 12가지 사실」, 공감신문, 2017.04.28,
http://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17047.

제11기 통일부 대학생 기자단(유니콘) 김세경 기자

북한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다?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안내
북한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 표시+상업적 이용 금지+변경 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오늘도 당신을 기다립니다”, 영화 '민우씨 오는 날' 교육총괄과 2018-08-28 16:46:12.397
현재글 북한 교육용 한자엔 특이점이 있다? 교육총괄과 2018-08-28 16:17:02.975
다음글 그것이 알고 싶다! 북한 사투리 편 교육총괄과 2018-07-30 14:18:46.068